경제, 재태크

살아나는 주식시장? 집값도? - <주식과 부동산 관계>

세모지소 2023. 6. 12. 08:00
반응형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은 서로 다른 독립적인 시장이라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몇몇 요인들로 인해 상호 연관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등의 요인들을 공유하며 일반적으로 시간 간격을 두고 동시 상승 혹은 하락하는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세모지소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지식을 소개합니다.

세모지소입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가계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있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 심리도 있을텐데요. 오늘은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식시장

 

주식 상승 요인

 

미국발 호재

아직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수준은 아닙니다.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어느정도 물가가 유지되는 모습이 보이고 무엇보다 주식시장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금리 인상 완화 기대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입니다. 특히 애플의 꾸준한 주가 상승과 테슬라의 포드 협업 등의 호재로 인한 상승, 엔비디아의 AI수혜주 효과 등 견인하는 요소가 많이 보입니다.

 

환율에 따른 저평가

국내 주식을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시장에 유동성이 확보되고 있고, 높은 금리로 인해 원화가 평가절하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외국인 입장에서 투자하기 매우 좋은 상황입니다. 2차전지, AI수혜주 위주로 국내주식시장도 급격히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분석가능한 몇가지 상승요인만 이야기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은 후에 서술할 금리, 경기 상황, 투자자 심리, 정책과 규제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받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가격 변동 요인

 

금리

가장 큰 이유입니다. 부동산의 경우 필요 자본의 규모가 매우 큽니다. 때문에 레버리지(은행... 빚...)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문에 금리가 높아지면 매수 심리가 줄어들고 늘어난 대출 금리로 인해 처분해야하는 매물도 늘어나는 등 집값이 떨어질 수 있는 요인이 매우 많이 생기게 됩니다. 

 

경기 상황

경기가 호황일때 기업의 수익성이 증가하고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합니다. 때문에 부동산 구매 수요도 같이 늘어나며 이때 집값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투자자 심리

금리나 경기 상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정성적인 요소입니다. 요즘같은 부동산 공포기에는 투자 심리가 더욱 내려가 합리적인 가격에도 거래가 부진해져 더더욱 집값이 떨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책과 규제

정부의 정책이나 부동산 규제는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관련 세제 혜택이나 규제 완화는 부동산 시장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 부동산시장 상관관계

 

일반적으로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받는 요인은 같습니다. 금리, 경기 상황, 투자자 심리, 정책과 규제 등이 그것입니다. 때문에 금리가 오르면 곧바로 주식이 떨어지고 보통은 몇주에서 몇달정도 후에 부동산도 떨어지기 시작하는 등의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그런것은 아닙니다. 각 종목별로 호재와 악재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과 국내 주식시장 등이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 심리도 살아나고 있으며, 대출 이자 하락 등 부동산 상승을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시간을 두고 커플링되는 경향이 있기에 부동산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오늘은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의 상관관계를 알아봤습니다.

세상의 모든 지식을 소개합니다. 세모지소였습니다.

반응형